통례원(通禮院)은 조선 시대 국가의 의례(儀禮)를 관장하였던 예조 소속 관서이다.[1]

개요

편집

개국 직후 고려의 제도를 답습하여 조회(朝會)의 의례를 관장하는 관청으로 합문(閤門)을 설치하였다.

합문은 얼마 뒤 통례문(通禮門)으로 개칭되고, 1414년(태종 14)에는 인진사가 첨지사, 인진부사가 판관, 통찬사인이 통찬으로 각각 바뀌었다.

그 뒤 1466년(세조 12)에 통례원으로 개칭됨과 동시에 직제도 개편되었다.

국가의 의례를 관장하는 관청이었기 때문에 그 직원은 홀기(笏記 : 의식의 순서를 적은 글)를 잘 부르는 목청 좋은 자들을 택하여 그 품계에 따라 임용하였다.

아전(衙前)으로 서리(書吏) 8인이 소속되어 있었으나 뒤에 서원(書員)으로 대체되고, 그 수도 4인으로 감축되었다가 6인으로 증원되었다.

1895년에 장례원(掌禮院)으로 개칭되었다.

관직

편집
품계 관직명 인원 비고
정3품 좌통례(左通禮) 1명 1466년 개편
우통례(右通禮)
종3품 상례(相禮)
익례(翊禮)
정4품 봉례(奉禮) 2명 1414년, 1466년에 개편
정5품 찬의(贊儀)
종6품 인의(引儀) 8명 → 6명(후기) 1466년 개편

그 중 1명은 한성부 참군을 겸함

종9품 겸인의(兼引儀) 6명 중종 때 개편
가인의(假引儀)

이속(吏屬)으로 서원(書員) 6인, 고직(庫直) 1명, 사령(使令) 10명, 군사(軍士) 1명이 있었다.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