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종친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위키백과:사랑방/2024년_제8주#문서_앞에_중세_국어_발음을_병기하는_것에_대해
 
(사용자 15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유형문화재 정보
[[파일:Gyeonggeundang.jpg|섬네일|종친부 경근당]]
| 소재_국가 = [[서울특별시]]
| 유형 =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유형문화재]]
| 그림 =
| 그림_설명 =
| 이름 = [[종친부경근당]]과[[옥첩당]]<br />(宗親府敬近堂과玉牒堂)
| 지정_번호 = 9
| 지정연월일 = [[1972년]] [[5월 25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화동]] 1
| 제작_시기 = [[조선]] 말기
| 비고 =
}}

'''종친부'''(宗親府)는 [[조선 시대]] 국왕을 지낸 이의 [[족보]]와 얼굴 모습을 그린 [[영정]]을 받들고 국왕 친척인 왕가·종실·제군의 [[계급]]과 [[벼슬]]을 주는 인사 문제와 이들간의 다툼 등에 관한 문제를 의논하고 처리하던 관아였다.
'''종친부'''(宗親府)는 [[조선 시대]] 국왕을 지낸 이의 [[족보]]와 얼굴 모습을 그린 [[영정]]을 받들고 국왕 친척인 왕가·종실·제군의 [[계급]]과 [[벼슬]]을 주는 인사 문제와 이들간의 다툼 등에 관한 문제를 의논하고 처리하던 관아였다.


== 역사 ==
옛 [[경기고등학교]] 자리인 [[정독도서관]] 관내에 위치하고 있다. 고려 때 [[제군부]]를 세종 15년에 고친 이름으로 조선말 1905년 종부사로 이름을 고쳤으나 2년 후에 폐지되어 그 업무는 [[규장각]]으로 옮겨졌다.
조선왕조 역대 모든 제왕의 어보(왕의 도장)와 영정(초상화)을 보관하고, 왕과 왕비의 의복을 관리하며 종실제군(宗室諸君)의 봉작승습·관혼상제 등 모든 사무를 맡아보던 곳이다. [[고려]] 때 [[제군부]]를 조선 전기에는 '재내제군소(在內諸君府)'라 하였으나 여러 차례 그 명칭과 기능이 바뀌었다가, 세종 12년(1430)부터 종친부라 하였다.


[[1895년]]에 종정사(宗正司)와 종정원(宗正院), [[1905년]] 종부사(宗簿司)로 이름을 고쳤으나, 2년 후에 폐지되어 관련 업무는 [[규장각]]으로 옮겨졌다.
종친부 건물은 조선 시대 [[관아 건축]]에 해당한다. 원래 [[경복궁]] 동쪽 문인 건춘문 맞은 편 옛 [[수도육군병원]] 후원인, [[한성부]] 북부 관광방에 그 일부분만이 남아 있었는데, [[1981년]] 현 위치로 옮겼다. 종친부가 이곳에 위치했던 것은 [[종신]]과 [[외척]] 및 [[부마]]·[[인척]], 그 외에 궁에서 일을 보는 [[상궁]]들만 [[건춘문]]으로 드나들게 했던 궁궐의 제도 때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청사 ==
종친부 옆에는 의빈의 인사 문제를 관장하는 [[의빈부]]가 있었다. 의빈이란 왕의 부마, 즉 왕비의 소생인 [[공주]]와 [[후궁]]의 소생인 옹주의 남편 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 의빈들도 [[왕족]] 대우를 받았으므로 그들이 모여 의논하고 친목을 도모하는 곳으로 종친부 옆에 의빈부가 마련되었었다.
종친부는 [[경복궁]] 동쪽 문인 [[건춘문]] 맞은 편에 위치하였는데, 당시 행정 구역으로는 [[한성부]] 북부 관광방이었다. 종친부가 이곳에 위치했던 것은 [[종신]]과 [[외척]] 및 [[부마도위|부마]] · [[인척]], 그 외에 궁에서 일을 보는 [[상궁]]들만 [[건춘문]]으로 드나들게 했던 궁궐의 제도 때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종친부 중심 건물이던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경근당과 옥첩당]]은 1981년 [[정독도서관]] 관내로 옮겼다가, 2013년에 원래 위치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관내로 이건되었다.


== 종친부 품계 ==
== 종친부 품계 ==
45번째 줄: 36번째 줄:
| 종정경(宗正卿) || 종2품 || ||
| 종정경(宗正卿) || 종2품 || ||
|-
|-
| 도정(都正) || 정3품 당상|| ||
| 도정(都正) || 정3품 당상|| || 신부인(慎夫人)
|-
|-
| 정(正) || 정3품 || 세자의 중증손(衆曾孫)·대군의 중손·왕자군의 중자와 적장증손 || 신부인(慎夫人: 당상)<br> 신인(慎人: 당하)
| 정(正) || 정3품 || 세자의 중증손(衆曾孫)·대군의 중손·왕자군의 중자와 적장증손 || 신인(慎人)
|-
|-
| 부정(副正) || 종3품 || 대군의 중증손·왕자군의 중손 || 신인(慎人)
| 부정(副正) || 종3품 || 대군의 중증손·왕자군의 중손 || 신인(慎人)
66번째 줄: 57번째 줄:
* 대군은 4대손까지, 왕자군은 3대손까지 종친으로 인정된다.
* 대군은 4대손까지, 왕자군은 3대손까지 종친으로 인정된다.
* 대군의 서얼이 낳은 아들은 종친으로 인정되지만, 왕자군의 서얼이 낳은 아들은 인정되지 않는다.
* 대군의 서얼이 낳은 아들은 종친으로 인정되지만, 왕자군의 서얼이 낳은 아들은 인정되지 않는다.
* 정1품 군은 공을 세우거나 국가의 행사로 승급을 하여 받는 품작이다.
* 정1품 군은 공을 세우거나 국가의 행사로 승급을 하여 받는 품작이다. 본래 대군과 왕자군이 받은 품작이었으나 을사대전에서 무계로 조정되었다.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 {{글로벌}} <!-- 〈조선 왕조의 통치기구〉 -->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조선 왕조의 통치기구〉}}
* {{서울시공개자료}}
* {{서울시공개자료}}


== 바깥 고리 ==
== 외부 링크 ==
* {{두피디아|101013000744916|종친부경근당과옥첩당}}
* {{브리태니커|b19j3209a}}
* {{브리태니커|b19j3209a}}
* {{한민족대백과|E0053022}}
* {{한민족대백과|E0053022}}
79번째 줄: 69번째 줄:
{{조선의 행정 기관}}
{{조선의 행정 기관}}


[[분류:조선의 왕족|*]]
[[분류:조선의 행정기관]]
[[분류:조선의 건축물]]
[[분류:조선의 건축물]]
[[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
[[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유산]]
[[분류:서울특별시의 건축물]]
[[분류:서울 종로구의 건축물]]

2024년 7월 19일 (금) 20:13 기준 최신판

종친부 경근당

종친부(宗親府)는 조선 시대 국왕을 지낸 이의 족보와 얼굴 모습을 그린 영정을 받들고 국왕 친척인 왕가·종실·제군의 계급벼슬을 주는 인사 문제와 이들간의 다툼 등에 관한 문제를 의논하고 처리하던 관아였다.

역사

[편집]

조선왕조 역대 모든 제왕의 어보(왕의 도장)와 영정(초상화)을 보관하고, 왕과 왕비의 의복을 관리하며 종실제군(宗室諸君)의 봉작승습·관혼상제 등 모든 사무를 맡아보던 곳이다. 고려제군부를 조선 전기에는 '재내제군소(在內諸君府)'라 하였으나 여러 차례 그 명칭과 기능이 바뀌었다가, 세종 12년(1430)부터 종친부라 하였다.

1895년에 종정사(宗正司)와 종정원(宗正院), 1905년 종부사(宗簿司)로 이름을 고쳤으나, 2년 후에 폐지되어 관련 업무는 규장각으로 옮겨졌다.

청사

[편집]

종친부는 경복궁 동쪽 문인 건춘문 맞은 편에 위치하였는데, 당시 행정 구역으로는 한성부 북부 관광방이었다. 종친부가 이곳에 위치했던 것은 종신외척부마 · 인척, 그 외에 궁에서 일을 보는 상궁들만 건춘문으로 드나들게 했던 궁궐의 제도 때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종친부 중심 건물이던 경근당과 옥첩당은 1981년 정독도서관 관내로 옮겼다가, 2013년에 원래 위치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관내로 이건되었다.

종친부 품계

[편집]
품작명 품계 설명 처(妻)의 품작
대군(大君) 무품 왕의 적자(嫡子)· 정궁의 아들 부부인(府夫人: 정1품)
군(君: 王子君) 무품 왕의 서자(庶子)· 후궁의 아들 군부인(郡夫人: 정1품)
영종정경(領宗正卿) 무품 대군(大君)·군(君)이 겸임
군(君) 정1품
판종정경(判宗正卿) 정1품
군(君) 종1품 대군을 승습한 적장자(嫡長子) 군부인(郡夫人)
군(君) 정2품 왕세자의 중자(衆子)·대군을 승습한 적장손(嫡長孫)·왕자군을 승습한 적장자(嫡長子) 현부인(縣夫人)
지종정경(知宗正卿) 종1품~정2품
군(君) 종2품 왕세자의 중손(衆孫)·대군의 중자와 적장증손(嫡長曾孫)·왕자군의 적장손 현부인(縣夫人)
종정경(宗正卿) 종2품
도정(都正) 정3품 당상 신부인(慎夫人)
정(正) 정3품 세자의 중증손(衆曾孫)·대군의 중손·왕자군의 중자와 적장증손 신인(慎人)
부정(副正) 종3품 대군의 중증손·왕자군의 중손 신인(慎人)
수(守) 정4품 왕자군의 중증손·대군의 서자 혜인(惠人)
부수(副守) 종4품 대군의 얼자·왕자군의 서자 혜인(惠人)
영(令) 정5품 왕자군의 얼자 온인(溫人)
부령(副令) 종5품 온인(溫人)
감(監) 정6품 순인(順人)

※출처: 경국대전(經國大典) 목판본 이전(吏典) 종친부 편(9면~13면), 외명부 종친처 편(4면~5면)

  • 승습하여 받는 작위는 부친의 사후에 승급되어 제수되는 것이다.
  • 대군은 4대손까지, 왕자군은 3대손까지 종친으로 인정된다.
  • 대군의 서얼이 낳은 아들은 종친으로 인정되지만, 왕자군의 서얼이 낳은 아들은 인정되지 않는다.
  • 정1품 군은 공을 세우거나 국가의 행사로 승급을 하여 받는 품작이다. 본래 대군과 왕자군이 받은 품작이었으나 을사대전에서 무계로 조정되었다.

참고 자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