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북촌 한옥마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nna113 (토론 | 기여)
Anna113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43번째 줄: 43번째 줄:


==북촌의 문화유산 ==
==북촌의 문화유산 ==
북촌지역의 문화재로 는 사적 5곳(중앙고 본관 281호, 동관 283호, 서관 282호, 윤보선가 438호, 관상감 관천대 296호), 서울시 민속자료 4곳(백범홍가 13호, 산업은행 관리가 4호, 백인제가 22호, 김홍기가 8호), 유형문화재 3곳(번사창 51호,종친부 9호, 동십자각 13호), 문화재 자료 1곳(이준구가), 천연기념물 3곳(동백송 8호, 측백나무 255호, 등나무 254호) 그리고 조선시대부터 형성되었던 옛길과 물길의 흔적이 남아 있고, 1900년 이후부터 급속하게 형성된 한옥군이 분포되어 있다. 1750년 도성도, 1892년 수전전도, 1927년 경성시가도, 그리고 2000년 이후인 현재 지도까지를 살펴보면 계동길, 가회로, 삼청동길, 창덕궁길 등이 옛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 고 있어, 많은 역사유적들과 더불어 중요한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ref>{{저널 인용 |저자1=신상화 |저자2=알탕게렐 벌드바타르 |날짜=2013|제목=북촌의 문화유산 |url=http://www.dbpia.co.kr.eproxy.sejong.ac.kr/Journal/ArticleDetail/NODE07229542?TotalCount=12&Seq=12&q=%5B%EB%B6%81%EC%B4%8C%ED%95%9C%EC%98%A5%EB%A7%88%EC%9D%84%C2%A7coldb%C2%A72%C2%A751%C2%A73%5D&searchWord=%EC%A0%84%EC%B2%B4%3D%5E%24%EB%B6%81%EC%B4%8C%ED%95%9C%EC%98%A5%EB%A7%88%EC%9D%84%5E*&Multimedia=0&isIdentifyAuthor=0&Collection=0&SearchAll=%EB%B6%81%EC%B4%8C%ED%95%9C%EC%98%A5%EB%A7%88%EC%9D%84&isFullText=0&specificParam=0&SearchMethod=0&Sort=1&SortType=desc&Page=1&PageSize=20 |저널=역사적 문화자산의 발굴을 통한 도시재생|권=3 |호=2 확인날짜=2017.9.13 }}</ref> 최근에는 건축가, 미술가들이 북촌의 역사성 속에 함께 하고자 북촌 내부에 작업실과 사무실 등을 개설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들은 북촌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와 내용을 발전시키는 하나의 현상이기도 하다.
북촌지역의 문화재로 는 사적 5곳(중앙고 본관 281호, 동관 283호, 서관 282호, 윤보선가 438호, 관상감 관천대 296호), 서울시 민속자료 4곳(백범홍가 13호, 산업은행 관리가 4호, 백인제가 22호, 김홍기가 8호), 유형문화재 3곳(번사창 51호,종친부 9호, 동십자각 13호), 문화재 자료 1곳(이준구가), 천연기념물 3곳(동백송 8호, 측백나무 255호, 등나무 254호) 그리고 조선시대부터 형성되었던 옛길과 물길의 흔적이 남아 있고, 1900년 이후부터 급속하게 형성된 한옥군이 분포되어 있다. 1750년 도성도, 1892년 수전전도, 1927년 경성시가도, 그리고 2000년 이후인 현재 지도까지를 살펴보면 계동길, 가회로, 삼청동길, 창덕궁길 등이 옛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 고 있어, 많은 역사유적들과 더불어 중요한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ref name=“북촌"> {{저널 인용 |저자1=신상화 |저자2=알탕게렐 벌드바타르 |날짜=2013|제목=북촌의 문화유산 |url=http://www.dbpia.co.kr.eproxy.sejong.ac.kr/Journal/ArticleDetail/NODE07229542?TotalCount=12&Seq=12&q=%5B%EB%B6%81%EC%B4%8C%ED%95%9C%EC%98%A5%EB%A7%88%EC%9D%84%C2%A7coldb%C2%A72%C2%A751%C2%A73%5D&searchWord=%EC%A0%84%EC%B2%B4%3D%5E%24%EB%B6%81%EC%B4%8C%ED%95%9C%EC%98%A5%EB%A7%88%EC%9D%84%5E*&Multimedia=0&isIdentifyAuthor=0&Collection=0&SearchAll=%EB%B6%81%EC%B4%8C%ED%95%9C%EC%98%A5%EB%A7%88%EC%9D%84&isFullText=0&specificParam=0&SearchMethod=0&Sort=1&SortType=desc&Page=1&PageSize=20 |저널=역사적 문화자산의 발굴을 통한 도시재생|권=3 |호=2 확인날짜=2017.9.13 }}</ref> 최근에는 건축가, 미술가들이 북촌의 역사성 속에 함께 하고자 북촌 내부에 작업실과 사무실 등을 개설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들은 북촌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와 내용을 발전시키는 하나의 현상이기도 하다.

==북촌 8경==
북촌 8경은 북촌한옥마을에 점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문화재와 한옥들을 선적으로 이어주는 핵심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서울시는 한옥 주거지 북촌을 서울의 대표 문화관광지로 만들어 나가기 위해 북촌을 가장 잘 감상할 수 있는 지점 8곳을 지정해 방문객을 위한 사진촬영대를 설치하였다. 북촌의 중심 관광자원이라 할 수 있는 한옥 경관과 한옥이 주도하는 골목길 풍경이 주로 선정되어 있다.<ref name=“북촌"/> <ref>{{저널 인용 |날짜=2014 |제목=도시 속의 한옥 마을, 북촌 8경|url=http://kiss.kstudy.com.eproxy.sejong.ac.kr/journal/thesis_name.asp?tname=kiss2002&key=3230076 |저널=지역정보화 |출판사=한국지역정보개발원 |권=85 |호=0 |확인날짜=2017.9.20 }}</ref>

===북촌1경- 창덕궁 전경===
===북촌2경-원서동 공방길===
===북촌3경-가회동 박물관길===
===북촌4경- 가회동 31번지 언덕===
===북촌5경-가회동 곡몰길(내림)===
===북촌6경-가회동 골목길(오름)===
===북촌7경-가회동 31번지===
===북촌8경-삼청동 돌층계길===


== 사진 ==
== 사진 ==

2017년 9월 20일 (수) 17:37 판

북촌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경복궁창덕궁, 종묘의 사이에 위치한 서울의 전통(일제 강점기 시대 전후의 근현대) 한옥 거주 지역이다. 조선 왕조의 두 궁궐 사이에 위치한 이 지역은 예로부터 청계천종로의 윗동네라는 이름에서 ‘북촌’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으며, 현재의 가회동, 삼청동, 원서동, 재동, 계동 일대에 있다. 많은 사적들과 문화재, 민속자료가 있어 도심 속의 박물관이라 불리는 곳이기도 하다. 경복궁과 마주하고 있는 삼청동길 주변에는 많은 갤러리가 늘어서 있고, 화동길과 더불어 각종 먹거리 자원과 특색있는 카페가 자리 잡고 있으며, 원서동에는 전통 기능의 보유자 및 예술인들이 모여 살고 있다.

개요 및 역사

조선 시대 당시에는 왕실의 고위관직에 있거나 왕족이 거주하는 권문세가들의 주거지구였으며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박영효 김옥균 등 개화파들과 많은 독립운동가들의 거주지이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때 도시로의 인구집중 현상은 서울의 주택난을 가중했고 이러한 주택난에 따라 민간에 의해 진행되는 구획형 개발이 나타났다. 주택의 매매를 통한 이윤을 얻고자 하는 주택경영회사들이 등장하면서 1912년 이후 중대형 필지의 분할을 통해 이전과는 다른 형태의 한옥들이 급속하게 건설되었다. 현재 북촌의 대표적 한옥 밀집 지역인 가회동 31번지, 11번지, 삼청동 35번지 일대 등도 모두 이때 주택경영회사에 의해 집단으로 건설된 한옥주거지들로서 대규모로 건설된 후 분양되는 방식으로 공급되었다. 이러한 한옥 주거지는 해방 이후 1960년대 초반까지 지속해서 건설되어 학교 및 공공시설로 남은 몇 개의 대형부지들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지역이 한옥들로 채워졌다. 1960년대 후반기부터 1970년대에 걸쳐 영동지구 개발사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강남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강북지역의 학교들도 강남지역으로 이전하게 되고 그 자리에 정독도서관, 15층 현대건설사옥 등 대규모 시설들이 신축되게 되었다. 이는 북촌의 경관을 바꾸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에 따라 전통 주거 지역으로서의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해 1983년 제 4종 미관지구로 지정되고 본격적인 한옥보존 정책이 시행되었으나 이 시기의 한옥보존 정책은 주민들과의 논의나 합의 없이 행정 주도로 시행된 것이었다. 한옥을 문화재와 같이 엄격하게 규제하는 방식이었고, 또한 북촌길을 폭을 넓히면서 많은 한옥을 철거하는 이중적인 행정운영으로 주민들의 불만을 가져오기도 했다. 주민들의 계속되는 건축기준 완화 요구로 1990년대 건물 높이 제한이 완화되어 다세대 주택의 신축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한옥 마을로써의 경관이 많이 훼손되기도 하였다.[1] 그러나 2001년 이후 주민들의 의사에 기초하는 한옥 등록제를 위주로 하는 새로운 보존 정책[2] 을 시행한 이래 한옥 자체의 재건축 및 고급화와 보존 노력이 자발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전통과 근대성이 혼재한 독특한 형태의 건축사적 의의로써도 재조명되게 된다.[3][4] 그리고 주변의 인사동, 삼청동 거리가 전통 문화 및 예술의 거리로 부각됨에 따라 전통 한옥 마을의 명성을 다시 찾아가고 있다.

조선 시대와 구한말 이래의 수많은 가지모양의 골목길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가회동 한씨 가옥, 윤보선 가옥, 이준구 가옥 등은 민속 및 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어 보존 관리되고 있다. 또한 전통 공방이 많이 있으며, 서울시에서 33채의 한옥을 구입하여 주로 전통장인에게 장소를 임대하여 주고 있기도 하다.[5] 그 밖에 내외국인을 위한 전통 숙소, 게스트하우스 들이 있다.

북촌의 문화유산

북촌지역의 문화재로 는 사적 5곳(중앙고 본관 281호, 동관 283호, 서관 282호, 윤보선가 438호, 관상감 관천대 296호), 서울시 민속자료 4곳(백범홍가 13호, 산업은행 관리가 4호, 백인제가 22호, 김홍기가 8호), 유형문화재 3곳(번사창 51호,종친부 9호, 동십자각 13호), 문화재 자료 1곳(이준구가), 천연기념물 3곳(동백송 8호, 측백나무 255호, 등나무 254호) 그리고 조선시대부터 형성되었던 옛길과 물길의 흔적이 남아 있고, 1900년 이후부터 급속하게 형성된 한옥군이 분포되어 있다. 1750년 도성도, 1892년 수전전도, 1927년 경성시가도, 그리고 2000년 이후인 현재 지도까지를 살펴보면 계동길, 가회로, 삼청동길, 창덕궁길 등이 옛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 고 있어, 많은 역사유적들과 더불어 중요한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6] 최근에는 건축가, 미술가들이 북촌의 역사성 속에 함께 하고자 북촌 내부에 작업실과 사무실 등을 개설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들은 북촌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와 내용을 발전시키는 하나의 현상이기도 하다.

북촌 8경

북촌 8경은 북촌한옥마을에 점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문화재와 한옥들을 선적으로 이어주는 핵심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서울시는 한옥 주거지 북촌을 서울의 대표 문화관광지로 만들어 나가기 위해 북촌을 가장 잘 감상할 수 있는 지점 8곳을 지정해 방문객을 위한 사진촬영대를 설치하였다. 북촌의 중심 관광자원이라 할 수 있는 한옥 경관과 한옥이 주도하는 골목길 풍경이 주로 선정되어 있다.[6] [7]

북촌1경- 창덕궁 전경

북촌2경-원서동 공방길

북촌3경-가회동 박물관길

북촌4경- 가회동 31번지 언덕

북촌5경-가회동 곡몰길(내림)

북촌6경-가회동 골목길(오름)

북촌7경-가회동 31번지

북촌8경-삼청동 돌층계길

사진

미디어

같이 보기

각주

  1. “북촌 역사”. 《서울특별시 서울한옥 포털》. 2017.9.13에 확인함. 
  2.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북촌가꾸기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3. 송인호, 김영수, 조은주 (2009). “서울 북촌한옥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8 (2). 
  4. 이선희 기자 (2009년 11월 13일). “(책과 길) 서울 생활의 전형,북촌을 재발견하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5. “장인의 거리 북촌 공방 길”. 디자인 서울. 
  6. 신상화; 알탕게렐 벌드바타르 (2013). “북촌의 문화유산”. 《역사적 문화자산의 발굴을 통한 도시재생》 3 (2 확인날짜=2017.9.13). 
  7. “도시 속의 한옥 마을, 북촌 8경”. 《지역정보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85 (0). 2014. 2017.9.20에 확인함. 

참고 문헌

외부 링크